본문 바로가기

도전과 경험

목적지에 조금 더 빠르고 편하게 전동 킥보드 공유 지쿠터 Gcooter

세상의 모든 정보들이 공개되면서 우리의 삶이 편해지는 측면도 있지만,

지하철이 몇분이면 도착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우리는 좀 더 바쁘게 움직일 수 밖에 없게 된다.

 

마을버스를 타기도 애매한 거리,

이 더운 여름 뛸수도 없는 노릇이라면

킥보드가 가장 적절한 이동수단일 수 밖에 없다.

 

많은 전동 킥보드 공유업체들이 있지만,

우리 동네에 가장 많이 보이기도 하고

그리고 제일 좋았던 점은, 이렇게 안전모가 함께 비치되어 있다는 점이었다.

 

누가 이걸 훔쳐가지는 않을까 걱정도 되긴 했지만, 

쓸데없는 오지랖인거 같고, 적어도 나는 깨끗이 쓰고 돌려놓으면 된다 생각했다.

 

사용방법은 우선 APP 를 설치한 후 (앱스토어에서 Gcooter 로 검색하면 녹색의 아이콘이 바로 나옴)

전화번호를 통한 인증과, 결재용 카드 등록, 그리고 운전면허증 등록을 하면 된다.

처음 등록 할 때 결재용 카드와 운전면허증을 들고 있어야 한다.

 

APP 에는 아래와 같이 탑승방법이 나와있다.

 

탑승 안전 수칙
QR 코드 스캔으로 잠금 해제
운전방법
주차하기

 

전동 킥보드의 운전 방법은 다들 쉽게 알 수 있을거라 생각하지만,

주의사항이라면, 이게 은근히 빠르다. 

브레이크는 양쪽에 핸들에 모두 달려있다.

오른쪽에 "달려" 라고 적혀있는 레버를 누르면 출발이 시작된다.

안전을 고려한 부분이라고 생각되는점은 처음 출발할 때 총알처럼 튕겨져 출발하지 않는 점이 맘에 들었다.

지쿠터 조작부

요금은 기본요금이 300원에, 분당 요금 130원이다.

 

 

또 하나 주의해야 할 점은 사용을 마칠 때 주차위치이다.

APP 에서 붉은색으로 표기된 부분은 주차를 할 수 없는 구역이기 때문에

주차를 할 수 있는 지역에서 세워둬야만 사용 종료가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을 끝낸 후에는 주차된 상태를 사진으로 찍어줘야 한다.

약간의 번거로움은 있지만, 다같이 함께 사용하는 고가의 기기이므로

관리측면에서 기꺼이 사진을 찍어서 마무리를 했다.

 

더운 여름 잠깐의 이동을 위해 이만한 이동수단이 또 있을까 싶다.

속도도 꽤나 빠르게 나오고, 안전모가 같이 비치되어 있어,

사용자의 안전까지 고려한 세심함이 보이는 전동킥보드 공유앱 Gcooter

내돈내고 내가 타본 후기를 여기서 마친다. (5분 간단히 사용하고 1,050원 요금 지불함)

 

이용 요금 5분 사용에 1050 원